신생아의 지속성 폐고혈압

2024. 2. 6. 00:28이른둥이

반응형

 

 

이른둥이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지속성 폐고혈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신생아 지속성 폐고혈압(PPHN)의 원인과 증상부터 진단 및 치료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지속성 폐고혈압(PPHN)을 이해하려면 출생 후 신생아 몸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순환 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임신 중에 아기의 폐는 산소 교환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태반이 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출생 이후 아기의 폐가 태반이 하는 역할을 이어서 하게 되는데요. PPHN에서는 이러한 전환이 장애물에 부딪혀 폐동맥에 지속적인 고압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상승된 압력은 심장에 부담을 주고 산소 공급을 방해하여 호흡 곤란을 초래합니다

.

여러 요인이 지속성 폐고혈압 (PPHN )발병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은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태변 흡인 증후군: 출생 중 또는 그 무렵에 태변(아기의 첫 대변)을 흡입하면 PPH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호흡곤란증후군(RDS): 폐발달이 덜된 미숙아는 호흡곤란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PPHN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3. 임신 중 감염: 임신 중 산모의 특정 감염이 PPHN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선천성 횡경막 탈장(CDH): 횡경막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PPHN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속성 폐고혈압의  징후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빠른 호흡: 아기가 빠르고 힘든 호흡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청색증: 특히 입술과 손가락 끝 주변의 피부가 푸르스름하게 변색되는 것은 산소 공급이 부족함을 나타냅니다.
  3. 수유 곤란: 호흡곤란으로 인해 신생아에게 수유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무기력: 아기가 피곤하거나 무기력해 보일 수 있습니다.

지속성 폐고혈압 (PPHN ) 확인은 대부분 병원에서 확인 가능한데요 맥박 산소 측정법을 사용하여 산소 수준을 측정하고 혈액 검사를 수행하며 심장초음파검사와 같은 영상 연구를 활용하여 심장 및 폐혈관을 보고 확인합니다. 

 

 

지속성 폐고혈압 (PPHN )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  

  1. 산소 요법: 혈액 내 산소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충 산소를 제공합니다.
  2. 환기 지원: 아기의 호흡을 돕기 위해 기계적 환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산화질소 요법: 흡입된 산화질소는 폐동맥을 이완시켜 압력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혈관 확장제입니다.
  4. 체외막 산소화(ECMO): 심각한 경우에는 ECMO가 심장 및 폐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